티스토리 뷰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될 수 밖에 없고, 빈곤한 사람은 더욱 빈곤해질 수 밖에 없다.

부익부 빈익빈!

이 말은 아주 기분나쁜 말입니다. 

돈이 있어야 돈을 벌수 있다는 말이고 돈이 없으면 돈을 벌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말뜻을 좋지 않게만 볼 것이 아니라 부자가 한번 된 후에는 더욱 부자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된다는 말은 뒤로 미루고, 부자가 부자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한번씩 상기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느끼는 점이 아주 많을 것입니다.

-----

경제통신사인 edaily 증권부 기자 한상복 씨.
그가 지난 1년 2개월간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부자(자산 20억~1천억원대)
1백43명을 만나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펴낸 책이 바로 『한국의 부자들
(위즈덤 하우스 펴냄)』이다.
부자들이 부자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주내용인 이 책은 ‘부자를 꿈꾸는’사람에겐 필독서다.

1. 부자들, 독하고 집요한 실천쟁이.
흔히들 ‘돈맛’이라는 말을 자주 하게 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에게 돈맛은 ‘돈을 쓰는 맛’이다.
반면 부자들은 ‘돈을 벌고 모으는 맛’으로 이해한다.
그것이 부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르는 첫 번째 경계선이다.
사람들은 어떤 계기로 ‘부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한다.
확고한 결심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한다.

하지만 대개는 길어야 6개월이다.
본인 스스로가 지친다.
‘이러다 어느 세월에 1억을 모으나.’라며 허탈감에 빠진다.
게다가 주변에 돈 쓸 일이 자꾸 생긴다.
슬며시 현실과 타협을 하게 된다.
‘내년부터 모으지 뭐.’라면서.
부자들에게는 이런 일이 없다.
목표를 정하면 집요하게 실천을 한다.
이것이 부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르는 두 번째 경계선이다.

2. 부자들, 때론 무모한 투자가이기도
‘돈을 충분히 모아서 사들인다.’는 것은 부자가 되어보지 못한
사람들의 계획일 뿐이다.
부자들은 일단 사고, 그다음에 돈을 모은다.
저축을 하면서도 끊임없이 주변을 두리번거려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무리를 해서 부동산을 사고 나면 저축의 목표가 또 한 차례 상향 조정된다.
이런 과정이 끊임없는 상승효과를 일으켜 부자의 길로 인도해준다.
저질러놓고 그것을 막는 과정은 고통스럽다.
부자가 되는 과정에 고통은 필수다.




3. 생활비를 빼고 저축하면 부자 못된다
부자들은 ‘단순히 돈을 모으기 위해’ 저축을 하면 절대로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명확한 투자 대상을 설정하고 그것을 구입하려면 얼마가 필요한지 파악하여
저축 규모를 정해야 한다는 것.
막연한 저축은 불필요한 소비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부자가 아닌 사람들은 생활비를 빼고 난 나머지 금액을 저축한다.
반면 부자가 된 사람들은 목표를 세운 뒤, 그것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저축
액수를 결정하고 있었다.
생활은 그다음 문제다. (중략)
부자가 되는 것은 눈을 뭉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처음에 힘을 주어 다지고 나면 굴려서 크게 만들 수 있다는 얘기다.
어쩔 수 없이 돈을 모을 수밖에 없도록 자기 시스템을 만들어놓는 것에서
부자 인생은 출발한다.

4. 짠돌이 생활태도, 부자들의 출발점
진성호 씨는 물건을 살 때 반드시 세 번 생각한다.
처음에는 그 물건이 꼭 필요할 것 같지만, 다시 생각하면 그 효용이 반반이고,
거듭 생각하면 필요 없는 물건일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바가지를 쓰면 분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이 바로 부자들이다. (중략)
부자들은 돈을 내고 무엇인가를 사는 것에 대해 매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수입은 일정한데, 쓰다 보면 돈이 모일 턱이 없다는 것.
부자들에게도 수입은 일정하다.
갑자기 수입이 곱절로 늘어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들이 여전히 부자인 것은 수입을 늘리면서도 지출은 엄격하게 통제하기
때문이다.

5. 0.1% 금리에 목숨 거는 쩨쩨함은 기본
부자들에게 이자 수입은 소득원 순위 3위 또는 4위에 그쳤다.
이들이 은행권에 많은 돈을 넣어두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소득(임대료 및 사업소득 등)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이한 것은 부자들이 이자율에 상당히 민감하다는 대목이었다.
0.01%라도 높은 이자를 주는 곳을 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부자가 쩨쩨하게 그까짓 이자 몇 푼 가지고 전전긍긍하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들은 부자가 되기 훨씬 전부터 높은 이자를 따라 금융상품을
갈아타는 것을 습관화해왔다.

6. 편안함만 추구한다면, 부자 되기는 글렀다
기능직 공무원 출신인 조대경 씨는 ‘이사’로 돈을 번 사람이다.
강남의 60평 규모의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살림이 거의 없었다.
옛날에는 살림이 좀 있었지만, 이사 다니기 거추장스러워서 대폭 줄였다는 것이
조씨의 설명이다.
50대 중반인 그는 23세에 결혼, 지금까지 열일곱 번 이사를 다녔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아파트 여러 채와 상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끊임없이 이사를 다닌다.
집값이 오르면 처분해 다른 곳으로 옮겨가며 또 한 채를 장만하는 식이다.
“이 일대 아파트 값이 많이 올랐어요. 이제 뜰 때가 됐습니다.”

7. 부지런함, 부자들의 공통점
부자들은 거의 대부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이들 중 64%는 오후 10시 이전에 잠들고, 88%가 오전 6시 이전에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략)
한 경영 전문지가 국내 1백대 기업의 최고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도 위의 결과와 비슷하다.
이들의 평균 출근시간은 오전 7~8시가 58.6%로 나타났다.
6~7시 사이에 출근한다는 경영자도 7.2%였다.
결국 75.8%가 8시 이전에 출근을 하고 있는 셈이다.

8. 정부정책의 숨은 뜻 파악에 능하다
부자들의 한 가지 공통점은 정부의 생각을 읽을 줄 안다는 것이다.
이들은 정부가 어떤 뜻에서 정책을 내놓는지, 그 이면을 해석할 줄 아는
안목을 가지고 있다.
연성길 씨만 해도 그렇다.
“1998년에 정부가 분양권 전매를 사실상 허용했는데 그 뜻이 뭐겠어요.
IMF 때문에 경기가 어려우니까 돈 가진 사람들이 풀라는 것 아닙니까.
그 전까지만 해도 부동산 투기를 억제한다고 분양권 전매에는 서슬이 퍼랬는데
말이에요.
그럴 때는 돈 가지고 들어가면 틀림없어요.
편법이 좀 있어도 단속을 안 합니다.” 정부와 부자들 간의 관계는 항상
견제와 균형을 유지한다.
정부는 경기가 달아오를 때 ‘세금을 내라’고 부자들을 윽박지르는 한편,
경기가 바닥일 때는 러브콜을 보낸다. ‘돈을 좀 풀라’는 애원이다.

9. 책상에서 말고, 돈 냄새 좇아 다리품을 판다
부자들은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들개처럼 돌아다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돈은 아이디어가 아닌 실물이므로, 그 냄새를 맡을 수 있는 후각을 기르기
위해서라도 돈이 흐르는 곳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우리 곁에는 아이디어 넘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들과 부자의 차이는 바로 실천이다.
돈은 말로 버는 것이 아니다.
다리품을 팔아야 냄새라도 맡을 수 있다. (중략)
우리는 부자가 되겠다고 결심을 하지만, 근처 부동산 앞을 지나다니면서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 시세만을 본다.
그 옆에 붙어 있는 상가 시세는 상관없는 것으로 취급한다.
장사를 생각하면서도 창업 박람회 한 번 가보지 않는다.
신문광고를 보고 찜닭집 개업을 생각한다.
그 광고를 혼자만 봤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10. 부자들은 '동네 발바리'
부자들은 동네를 속속들이 누비고 다니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주변에서 기회를 찾는다.
낱낱이 파악한 정보로 승부를 걸고 성공의 발판을 마련한다.
또한 ‘잘 아는 곳’에 투자를 한다.
남들의 성공에 부화뇌동하지 않는다.
친구가 어떤 아이템으로 한밑천 건졌다고 자랑을 한들 그들과는 상관없는
일이다.
부자에게는 부자만의 기회가 있다.
지금 하고 있는 일, 살고 있는 동네에 무수한 기회가 넘실거리고 있다.
그러나 주변에 아무리 기회가 널려 있다 해도 그것을 볼 눈이 없으면
이것 역시 의미 없는 일이 되어버린다.
기회는 눈을 뜬 사람에게만 보이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기 위한 습관을 기르고 실천하지 않는 이상,
부자의 안목을 가질 수 없다.
 
인터넷 발췌

-----

방문 감사합니다 (__) 


댓글